성전에 꽃을 꽂기 위해서는 우선 어떻게 드리느냐 하는 마음의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꽃을 꽃기 위해서 구상할 때부터가 이미 기도를 시작하고 있다는 자세로 임해야한다.
특히 다른 모든 은혜로운 일 중 제대, 강단에 가장 가까이에서 주님을 뵙고 묵상할 수 있는 기회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꽃작품을 구상하고 제작해야한다.
제대나 강단에 마련하게 되는 꽃작품의 기획, 구도, 색채구성 등은 일반 꽃예술의 튼튼한 기초위에 이루어지며
그 기초적 배경에 있어서도 별다른 바가 없으나 다만 색체나 크기의 구성에 있어서 교회의 분위기에 따라서
꽃도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회의 제대, 혹은 강단을 꽃으로 장식할 경우 좋은 착상을 얻기 위하여 또는 기도시작 전의 마음의 자세로
그날 그날의 교회의 예절과 성구 등을 미리 읽고 마음을 담아 그날의 뜻과 예절을 잘 살펴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개신교에서는 종교개혁 이전의 교회의 축제들을 많이 생략하거나 중요하게 생각치 않는 경향이었으나 요즘은
대부분의 개신교의 목회자나 신도들은 오히려 그러한 교회의 축제들에 많은 관심을 갖는 편이다.
제대, 또는 강단의 꽃을 통하여 전례(典禮) 를다시 생각하고 전례에 맞게 꽃을 장식하는 것은 신도들의 마음을
즐겁게하고 나아가서 하나님의 마음을 즐겁게하는 것이다.
교회력에 따른 색깔의 배려도 중요하고 그 꽃꽃이의 상징적인 구상도 전체의 교회력에 따라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회의 꽃을 꽃을 때 색을 모은다든지 강한 대비의 배색을 한다든지 공간구성에서 전체적으로 면으로
처리한다든지 하는 기술의 연마가 필요하다.
특히 교회꽃꽃이는 제단 뒤의 배경색이 대개 자주색 벨벳이나 벽돌일 경우 색이 어두움으로 보라색이나 자주색
계통의 색은 피하고 밝은 색의 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경색이 밝은 경우는 잎이나 어두운 색을 뒷편으로 보내고 밝은 색의 꽃을 중점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어느 특정 절기에 특정한 꽃을 꽃는다는 관습에서 피하여 그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꽃을 선택하는 지혜도 필요하다.
요즘 지나치게 특정 절기에 특정한 꽃을 사용함으로 그러한 시즌에 갑자기 특정 꽃값이 상승하거나 구하기가
힘든 것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도서출판 인아에서 펴낸 성전꽃꽂이에서 ]
'성전꽃꽂이의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작품 구상시 유의할 점 (0) | 2007.05.02 |
---|---|
교회력의 색상 (0) | 2007.05.02 |
교회력 (0) | 2007.05.02 |
성전꽃꽂이 표현 (0) | 2007.05.02 |
성전꽃꽂이에 대한 이해 (0) | 2007.05.02 |